맨위로가기

제1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은 1895년부터 1896년까지 이탈리아 왕국과 에티오피아 제국 간에 벌어진 전쟁이다. 이 전쟁은 이탈리아가 에티오피아를 보호령으로 만들려는 시도로 시작되었으며, 이탈리아의 에리트레아 점령과 우찰레 조약의 해석 차이에서 비롯되었다. 전쟁 초기 이탈리아는 우세를 보였으나, 1896년 아드와 전투에서 에티오피아군에게 결정적인 패배를 당했다. 이로 인해 이탈리아는 에티오피아의 독립을 인정하고 우찰레 조약을 무효화했으며, 에리트레아를 제외한 에티오피아에 대한 영토 확장을 포기했다. 아드와 전투의 승리는 에티오피아의 독립을 지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으며, 유럽 열강과의 관계 재정립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5년 이탈리아 - 1895년 이탈리아 총선
    1895년 이탈리아 총선은 시칠리아 소요 사태, 방카 로마나 스캔들 등 혼란스러운 상황 속에서 치러졌으며, 크리스피 총리가 이끄는 역사적 좌파가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으나 아드와 전투 패배로 크리스피가 사임했다.
  • 1896년 에티오피아 - 아두와 전투
    아두와 전투는 1896년 에티오피아의 아두와에서 이탈리아군을 상대로 에티오피아군이 승리한 전투이며, 이탈리아는 에티오피아의 독립을 인정하고 아프리카 민족주의에 영향을 미쳤다.
제1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분쟁 이름제1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일부아프리카 분할
날짜1895년 1월 13일 – 1896년 10월 23일 (1년 9개월 1주 3일)
장소이탈리아령 에리트레아 및 에티오피아 제국
결과에티오피아의 승리
영토 변경에티오피아의 주권 확인; 에리트레아-에티오피아 국경 경계 확정
교전 세력
교전국 1이탈리아 왕국
교전국 2에티오피아 제국
지원국 2러시아 제국
프랑스 제3공화국
지휘관
지휘관 1프란체스코 크리스피
오레스테 바라티에리
주세페 아리몬디
주세페 갈리아노
피에트로 토셀리
지휘관 2메넬리크 2세
타이투 베툴
멩게샤 요한네스
웰레 베툴
병력
병력 135,000–43,700명
병력 280,000–125,000명
사상자 및 손실
사상자 1사망: 9,313명 (이탈리아군 4,424명, 에리트레아군 4,889명)
부상: 1,428명
포로: 3,865명
사상자 2약 10,000명 사망
이미지
메넬리크 2세
토셀리 소령의 죽음
데브라 아일라 전투 묘사
오레스테 바라티에리
'다보르미다의 마지막 집결' 묘사
말 탄 라스 멩게샤
추가 정보

2. 역사적 배경

19세기 말, 유럽 열강들이 아프리카 대륙을 분할하던 시기에 이탈리아는 에티오피아를 식민지화하려는 야욕을 품었다. 당시 에티오피아는 메넬리크 2세 황제의 통치 아래 중앙집권화와 근대화를 추진하고 있었으며, 주변 국가들과 갈등을 겪고 있었다.

이집트의 이스마일 파샤는 에티오피아를 정복하려 했으나 이집트-에티오피아 전쟁에서 패배했다. 1884년, 영국, 이집트, 에티오피아 간에 휴엣 조약이 체결되어 에티오피아가 해체된 하베시 에얄레트의 일부를 점령하고, 에티오피아 상품이 마사와를 관세 없이 통과할 수 있게 되었다.[14] 그러나 영국은 프랑스를 견제하기 위해 이탈리아가 마사와를 점령하도록 유도했다.[14]

1885년, 이탈리아군이 마사와에 상륙하면서 에티오피아와 이탈리아 간의 갈등이 시작되었다.[14] 1887년 도갈리 전투에서 에티오피아군이 이탈리아군을 격파했지만,[17] 1889년 메넬리크 2세가 황제로 즉위한 후, 이탈리아는 다시 내륙으로 진격하여 아스마라와 케렌을 점령했다.[18]

1889년 5월 2일, 메넬리크 2세는 이탈리아와 우찰리 조약을 체결했다. 그러나 조약의 이탈리아어판과 암하라어판의 내용이 달라 갈등이 심화되었다. 이탈리아어판은 에티오피아가 이탈리아를 통해 외교를 수행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이탈리아의 보호령으로 만드는 것이었다. 반면 암하라어판에는 에티오피아가 외국과 접촉할 때 이탈리아 대사관을 이용할 수 있다고만 되어 있었다.[19] 1895년, 메넬리크 2세는 조약 파기를 선언했다.

2. 1. 이탈리아의 에리트레아 점령과 우찰레 조약

1885년, 이탈리아군은 영국의 지원 아래 마사와에 상륙하여 이집트군을 대체했다.[14] 이탈리아는 국내 불만을 잠재우기 위해 제국주의 정책을 펼쳤다.[14] 1889년 3월 25일, 쇼아 왕국의 메넬리크 2세는 에티오피아 황제로 즉위했다.

1889년 5월 2일, 메넬리크 2세는 이탈리아와 우찰레 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으로 이탈리아는 에티오피아 북동쪽 홍해 연안의 에리트레아에 대한 통제권을 확보한 것으로 보였다. 그 대신 이탈리아는 메넬리크 2세의 통치를 인정하고, 일정 금액의 돈과 3만 정의 소총 및 28문의 야포를 제공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탈리아어와 암하라어로 된 조약 내용은 서로 달랐다. 이탈리아어판에는 에티오피아가 이탈리아를 통해 외교를 수행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었지만(이는 이탈리아의 보호령으로 만드는 것이었다), 암하라어판에는 에티오피아가 외국과 접촉할 때 이탈리아 대사관을 이용할 수 있다고만 되어 있었다.[19] 이탈리아 외교관들은 원래 암하라어 본문에도 해당 조항이 있었고 메넬리크 2세가 고의로 수정된 조약 사본에 서명했다고 주장했다.[20]

1889년 10월, 이탈리아는 우찰레 조약을 근거로 에티오피아가 이탈리아의 보호령이 되었으므로 다른 유럽 국가들은 에티오피아와 외교 관계를 맺을 수 없다고 통보했다.[21] 오스만 제국과 러시아를 제외한 모든 유럽 열강은 이탈리아의 주장을 받아들였다.[21]

메넬리크 2세는 조약 내용에 항의했고, 1893년 조약을 거부했다. 이에 이탈리아는 압력을 높여 1894년 12월 마레브 강을 건너 티그라이로 군사 작전을 시작했다.

2. 2. 에티오피아의 내부 상황과 메넬리크 2세의 개혁

메넬리크 2세는 에티오피아의 중앙집권화를 추진하고 군대를 현대화하는 등 국가 개혁에 힘썼다. 메넬리크 2세는 프랑스와 러시아 등 다른 유럽 국가들로부터 무기를 도입하여 군사력을 강화했고, 이는 이탈리아와의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4] 특히, 메넬리크 2세는 보병과 포병을 제대로 훈련시켜 핫치키스 대포가 이탈리아군 대포보다 더 빠르게 발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에티오피아군에게 결정적인 이점을 제공했다.[4]

3. 전쟁의 전개

1893년, 메넬리크 2세는 우찰레 조약을 파기하고 이탈리아에 저항할 것을 선언했다. 이탈리아는 1894년 12월 마레브 강을 건너 티그라이 주(에리트레아와의 국경)로 진격했다.[28] 이탈리아는 고자잠의 테클레 하이마노트, 라스 멩게샤 요하네스, 아우사 술탄 등이 이탈리아에 합류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에티오피아인들은 민족주의와 반이탈리아 감정을 보이며 메넬리크 황제 편에 섰다.[28] 1894년 6월, ''라스'' 멩게샤와 그의 장군들은 메넬리크 황제 앞에 큰 돌을 가져다 놓으며 복종을 맹세했고, 여러 봉건 영주들이 뒤따르면서 에티오피아는 국가적으로 통합되었다.[18]

메넬리크 2세는 러시아, 프랑스, 영국 등으로부터 현대식 무기와 탄약을 대량으로 구매하여 축적했다.[29] 특히 프랑스는 이탈리아의 진출을 우려하여 메넬리크 2세에게 그라스 소총 1874년형 8만 정, 대포 33문, 포탄 5,000발 등을 판매하며 에티오피아의 군사력 강화를 지원했다.[31][32][33]

황제 메넬리크 2세(Menelik II)


오레스테 바라티에리(Oreste Baratieri)


1894년 12월, 바흐타 하고스(Bahta Hagos)가 아켈레 구자이(Akkele Guzay)에서 반란을 일으켰으나, 오레스테 바라티에리(Oreste Baratieri) 장군 부대에 의해 진압되고 할라이 전투(Battle of Halai)에서 사살되었다.[28]

이후 1895년 1월 코아티트 전투와 세나페 전투에서 이탈리아군에게 유리한 전투가 벌어졌고, 1895년 12월 암바 알라기 전투에서는 에티오피아군에게 유리한 전투가 벌어졌다. 이 전투들에 대한 내용은 #주요 전투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메넬리크 2세는 아디그라트(Adigrat)에 있는 이탈리아 본부를 공격하는 대신 아드와(Adwa) 고원으로 서쪽으로 진군했고, 오레스테 바라티에리(Oreste Baratieri)는 에티오피아군의 에리트레아 침공을 우려하여 아디그라트를 버리고 이동했다. 1896년 2월 28일, 바라티에리는 장군들을 소집하여 식량 부족 문제를 알리고 아스마라(Asmara)로 후퇴할 것인지, 아니면 에티오피아군을 공격할 것인지 물었다. 모든 장군들이 후퇴에 반대했고, 바라티에리는 기습 공격을 결정하고 다음 날 전투 명령을 내렸다.

3. 1. 주요 전투

1895년 1월, 이탈리아군은 라스 멩게샤가 에리트레아를 침공하자 코아티트 전투에서 승리하고, 세나페 전투에서 멩게샤를 다시 격파했다.[34]

1895년 12월 7일, 암바 알라기 전투에서 라스 마코넨, 라스 멩게샤 요하네스, 웰레 베툴이 이끄는 에티오피아군이 피에트로 토셀리 소령의 이탈리아군을 기습하여 대승을 거두었다.[36]

이 전쟁의 결정적 전투는 1896년 3월 1일 아두와 마을 북쪽 산악 지대에서 벌어진 아두와 전투였다. 이탈리아군은 에티오피아군에게 궤멸적인 패배를 당했다.[40][41] 에티오피아군은 이탈리아군보다 우수한 화력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특히 속사포인 핫치키스 대포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이탈리아군에 큰 타격을 입혔다.[4]

3. 2. 아두와 전투 (1896년)

아두와 전투는 1896년 3월 1일, 현재의 아두와(Adwa, 또는 Adowa) 마을 북쪽 산악 지대에서 벌어진 제1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의 결정적인 전투였다. 이탈리아군은 총 17,700명(4개 여단)과 56문의 대포를 보유하고 있었지만, 에티오피아군은 7만 3천 명에서 12만 명(소총으로 무장한 병력은 8만~10만 명)에 달했고, 거의 50문의 대포를 갖추고 있었다.[4] 리처드 판크허스트에 따르면 에티오피아군은 약 10만 정의 소총으로 무장했으며, 그중 약 절반은 속사포였다.[4]

아두와 전투를 묘사한 그림


에티오피아군은 수년 만에 매우 첨단 장비를 갖추고 있었다. 이탈리아의 진출을 우려한 프랑스는 메넬리크 2세에게 막대한 총기와 대포를 판매했다. 이러한 군사적 지원은 에티오피아군에게 결정적인 이점을 제공했다.[38][39]

2월 29일 밤부터 3월 1일 새벽까지, 3개의 이탈리아 여단은 좁은 산길을 따라 아두와로 따로 진격했고, 나머지 1개 여단은 야영한 채 남아 있었다. 그러나 3개의 선봉 이탈리아 여단은 야간 행군 중에 분리되어 새벽이 되자 매우 험준한 지형에 수 킬로미터에 걸쳐 흩어져 있었다. 메넬리크 2세는 라스 알룰라의 첩자들을 통해 이탈리아군이 진격하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황후 타이투 베툴이 곁에 있는 가운데 군대를 전진시켰다.[38][39]

이탈리아군은 잇따른 공격을 받았고, 메넬리크 2세는 2만 5천 명의 예비군을 투입하여 이탈리아 여단을 압도했다. 또 다른 여단은 격리되어 기병 돌격으로 궤멸되었다. 나머지 두 여단은 파괴적인 붕괴 속에서 차례로 격파되었다. 정오가 되자 이탈리아군 생존자들은 완전히 후퇴했다.[40][41]

송환을 기다리는 이탈리아 포로들


이탈리아군은 에리트레아로 도주하면서 모든 대포와 1만 1천 정의 소총, 그리고 대부분의 수송 수단을 남겼다.[41]

전투 결과, 이탈리아군에서는 6,133명(장교 261명, 백인 부사관 및 병사 2,918명, 행방불명 954명, 아스카리 약 2,000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또한 1,428명이 부상당했고(이탈리아인 470명, 아스카리 958명), 1,865명의 이탈리아인과 1,000~2,000명의 아스카리가 포로로 잡혔다.[42][43] 에티오피아군의 피해는 사망 7,000명, 부상 1만 명으로 추산되었다.[45][1]

포로로 잡힌 800명의 에리트레아 아스카리는 에티오피아인들에게 배신자로 여겨져 오른손과 왼발이 절단되었고, 일부는 거세당하기도 했다.[46][47] 반면 이탈리아 포로들은 일반적으로 더 나은 대우를 받았다.[48][49][50]

4. 전쟁의 결과 및 영향

아디스아바바 조약 체결로 이탈리아는 에티오피아의 독립을 인정하고 에리트레아를 제외한 모든 점령지에서 철수해야 했다. 이 전쟁은 에티오피아가 주권과 독립을 지켜냈다는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아프리카 다른 국가들에게도 제국주의에 맞서 싸울 수 있다는 희망을 주었다.[51]

아두와 전투 승리는 유럽 열강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고, 에티오피아는 국제사회에서 주권 국가로 인정받았다. 조약 체결 후, 프랑스와 영국도 잇달아 메넬리크 2세를 방문하여 자국의 권익에 대해 논의했다.

러시아는 에티오피아를 지원하며 러시아 적십자 의료 지원단을 파견했지만, 이들은 아두와 전투가 끝난 후 약 3개월 뒤에 아디스아바바에 도착하여 실제 전투에 참여하지는 못했다.[52]

1935년 이탈리아는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을 일으켰고, 1937년 승리하여 에티오피아를 이탈리아 동아프리카에 합병했다. 그러나 1941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에티오피아 애국자 아르베그노치와 영국 제국의 지원으로 이탈리아군은 축출되었다.[56][57]

4. 1. 아디스아바바 조약

이탈리아는 전신을 통해 재앙 소식을 본국과 세계 각국에 즉시 알렸다. 이탈리아는 정치적 위기와 대중 시위로 흔들렸다. 여러 이탈리아 도시에서 폭동이 일어났고, 2주 만에 크리스피는 이탈리아 국민들의 "해외 모험"에 대한 환멸 속에 사임해야 했다.[51] 전투 직후 메넬리크 2세는 안토니오 발디세라에게 이탈리아가 에티오피아에 대한 보호령 주장을 공개적으로 포기하면 평화를 맺겠다는 메시지를 보냈다. 발디세라 장군은 에티오피아가 다른 유럽 열강의 보호를 받지 않기로 동의하는 경우에만 이를 받아들이겠다고 했다. 메넬리크 2세는 이탈리아의 오만함에 협상을 중단하고 원래 제안을 철회했다. 아디스아바바로 돌아온 메넬리크 2세는 10월에 아디스아바바 조약을 체결하여 에리트레아의 국경을 확정하고 이탈리아가 에티오피아의 독립을 "절대적으로 그리고 어떤 유보 없이" 인정하도록 했다.absolutely and without any reservation영어

메넬리크 2세는 수도 아디스아바바로 귀환하여 이 예상치 못한 승리에 이탈리아 정부가 어떻게 반응할지 살폈다. 이탈리아 국내에서는 (군의 규모에는 차이가 있지만) 아드와 전투의 프랑스 제국군보다 높은 전사율을 보이면서, 계속 전쟁을 해야 한다는 주장보다 식민지 전쟁에 대한 환멸이 왕국 내에 더욱 퍼져나갔다.

2주 후, 프란체스코 크리스피 정권은 민중의 비난 속에서 붕괴되었다. 그 후, 에티오피아를 방문한 신정권의 외교단과 메넬리크 2세 사이에 아디스아바바 조약이 체결되어, “원래의” 우찰레 조약과 같은 내용(에티오피아 독립 승인, 에리트레아 할양)이 확약되었다.

4. 2. 국제적 영향

아두와 전투의 승리는 유럽 열강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으며, 에티오피아는 국제사회에서 주권 국가로 인정받게 되었다.[51] 이탈리아에서는 이 소식이 전해지자 정치적 위기와 대중 시위가 발생했고, 결국 크리스피 총리가 사임하게 되었다.[51]

메넬리크 2세는 아디스아바바 조약을 체결하여 에리트레아의 국경을 확정하고 이탈리아로부터 에티오피아의 독립을 "절대적으로 그리고 어떤 유보 없이" 인정받았다.[51]

이 승리 이후, 유럽 열강들은 에티오피아 제국과의 관계를 신속하게 조정하기 시작했다. 에티오피아와 인접한 식민지를 가지고 있던 영국과 프랑스의 사절단이 에티오피아 수도에 도착하여 조약을 협상했다. 특히 프랑스는 이탈리아의 패배를 이용하여 영향력을 크게 확대했으며, 1897년 3월 20일에는 "진정한 동맹 조약"으로 묘사된 조약을 체결했다.[22] 영국은 에티오피아가 마흐디스트 반란을 지원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받아내고 1897년 5월 14일 1897년 영국-에티오피아 조약을 체결했다.[54][55]

러시아는 동방 정교회 국가인 에티오피아를 외교적으로 지원하여 에티오피아에서 러시아의 위신을 크게 높였다. 러시아 적십자는 의료 지원단을 파견했지만, 아두와 전투가 끝난 후 약 3개월 뒤에 도착했다.[52]

에티오피아의 독립은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까지 유지되었다.

5. 평가와 의의

제1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은 19세기 말 유럽 열강의 아프리카 분할 경쟁 속에서 이탈리아가 에티오피아를 식민지로 만들려다 실패한 전쟁이다. 이 전쟁은 에티오피아가 유럽 국가를 상대로 승리한 몇 안 되는 사례 중 하나로, 아프리카 역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탈리아는 에티오피아군의 현대화 수준을 과소평가하고, 지휘부의 오판, 전략 부재, 정보 부족 등으로 인해 아두와 전투에서 대패했다. 반면 에티오피아는 메넬리크 2세의 뛰어난 리더십과 외교력, 현대식 무기 도입, 지형의 이점 활용, 그리고 민족주의와 애국심을 바탕으로 승리했다.

이 전쟁의 결과, 에티오피아는 주권과 독립을 지켜냈고, 이탈리아의 식민지 확장은 좌절되었다. 이는 아프리카 다른 국가들에게도 희망과 용기를 주었으며, 이후 아프리카 민족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5. 1. 이탈리아의 패인 분석

이탈리아가 제1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에서 패배한 원인은 다음과 같이 분석할 수 있다.

  • 에티오피아군의 현대화 간과: 이탈리아는 에티오피아군이 구식 무기와 전술에 의존할 것이라고 오판했다. 그러나 메넬리크 2세는 프랑스와 러시아로부터 현대식 무기를 도입하고 군대를 훈련시켜 전투력을 크게 향상시켰다.[4] 특히, 에티오피아군은 수천 정의 현대식 소총과 핫치키스 대포, 그리고 이탈리아군 소총과 대포보다 우수한 탄약과 포탄을 갖추고 있었다.[4] 메넬리크 2세는 보병과 포병 훈련을 통해 핫치키스 대포가 이탈리아군 대포보다 더 빠르게 발사할 수 있도록 하여 에티오피아군에게 결정적인 이점을 제공했다.[4]

  • 지휘부의 오판과 전략 부재: 이탈리아군 지휘부는 에티오피아의 지형과 기후 조건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고, 무리한 공격을 감행하여 병력을 소모했다. 아두와 전투에서 이탈리아군은 좁은 산길을 따라 분산 진격하다가 에티오피아군의 집중 공격을 받아 각개격파 당했다.[38][39][40][41]

  • 정보 부족: 이탈리아군은 에티오피아군의 규모와 배치, 그리고 메넬리크 2세의 전략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지 못했다. 오레스테 바라티에리 장군은 에티오피아군의 규모를 과소평가하여 메넬리크 2세가 3만 명만 동원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이탈리아군은 아두와 전투에서 대패했고, 결국 전쟁에서 패배하게 되었다.

5. 2. 에티오피아의 승리 요인 분석

아두와 전투에서 에티오피아군이 승리한 요인은 다음과 같이 분석할 수 있다.

  • '''메넬리크 2세의 리더십:''' 메넬리크 2세는 뛰어난 외교력과 정치력으로 내부 분열을 극복하고 국가적 단결을 이끌어냈다. 특히, 암하라계 군벌들을 연합하여 이탈리아에 대항하도록 한 점이 돋보인다. 또한, 군사 개혁을 통해 에티오피아군을 현대화하고, 아두와 전투에서 탁월한 지휘 능력을 발휘했다.[38][39]
  • '''현대식 무기 도입과 활용:''' 에티오피아는 프랑스와 러시아로부터 소총, 기관총, 대포 등 현대식 무기를 도입했다.[4] 특히 프랑스는 이탈리아의 진출을 우려하여 메넬리크 2세에게 막대한 양의 무기를 판매했다. 이러한 무기들은 이탈리아군에 맞서는 데 효과적으로 활용되었다. 메넬리크 2세는 보병과 포병을 훈련시켜 핫치키스 대포가 이탈리아군 대포보다 더 빠르게 발사할 수 있도록 하여 에티오피아군에게 결정적인 이점을 제공했다.
  • '''지형의 이점 활용:''' 에티오피아군은 산악 지형에 익숙했고, 이를 이용하여 이탈리아군을 유인하고 포위하는 전술을 구사했다. 아두와 전투는 험준한 산악 지형에서 벌어졌는데, 에티오피아군은 이 지형을 이용해 이탈리아군을 각개격파했다.[40][41]
  • '''민족주의와 애국심:''' 에티오피아인들은 외세의 침략에 맞서 조국을 지키겠다는 강한 애국심과 민족주의로 뭉쳐 싸웠다.
  • '''이탈리아군의 오판과 전략적 실수:''' 이탈리아군은 에티오피아군의 규모와 전투력을 과소평가했다. 오레스테 바라티에리 장군은 메넬리크 2세가 3만 명만 동원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실제 에티오피아군은 7만 3천 명에서 12만 명에 달했다. 또한, 이탈리아군은 야간 행군 중 부대가 분리되는 등 전략적 실수를 저질렀다.[40][41]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에티오피아는 아두와 전투에서 승리할 수 있었고, 이는 이탈리아의 식민지 확장을 저지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Ethiop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2-02-22
[2] 서적 The Life and Times of Menelik II: Ethiopia, 1844-1913
[3] 서적 "Between the Jaws of Hyenas": A Diplomatic History of Ethiopia (1876-1896)
[4] harvnb
[5] 서적 I prigionieri di Menelik, 1896-1897
[6] 서적 Italian Colonialism in Eritrea 1882-1941
[7] 서적 The Battle of Adwa: Reflections on Ethiopia's Historic Victory Against https://books.google[...] Algora
[8] 학술지 The Campaign of Adowa and the rise of Menelik https://zenodo.org/r[...] 1903
[9] 서적 Armies of the Adowa Campaign 1896 Bloomsbury USA 2011-09-20
[10] harvnb
[11] 백과사전 5 Fascinating Battles of the African Colonial Era https://www.britanni[...] 2020-06-14
[12] 강연 The Impact of the Adowa Victory on The Pan-African and Pan-Black Anti-Colonial Struggle 2006-02-08
[13] 학술지 The Porte and Ismail Pasha's Quest for Autonomy https://www.jstor.or[...] 2020-12-23
[14] harvnb
[15] 학술지 The Origins of the Anglo-French Condominium in Egypt, 1875-1876 https://www.jstor.or[...] 2020-12-23
[16] 학술지 Ethiopia and the Mahdiyya – You Call Me a Chicken?
[17] harvnb
[18] harvnb
[19] harvnb
[20] 웹사이트 Battaglia di Adua http://www.arsmilita[...] 2006-06-04
[21] 학술지 The Protectorate Paragraph of the Wichale Treaty
[22] 학술지 A Background to Direct British Diplomatic Involvement in Ethiopia, 1894–1896
[23] harvnb
[24] 서적 The Battle of Adwa: Reflections on Ethiopia's Historic Victory Against European Colonialism Algora
[25] harvnb
[26] 서적 The Annual Register of World Events: A Review of the Year Longmans, Green
[27] 학술지 Reading "Ethiopia through Russian Eyes": Political and Racial Sentiments in the Travel Writings of Alexander Bulatovich, 1896–1898 https://muse.jhu.edu[...]
[28] harvnb
[29] 서적 The Battle of Adwa Reflections on Ethiopia's Historic Victory Against European Colonialism https://books.google[...] Algora 2005
[30] 서적 History of Ethiopian towns from the mid 19th century to 1935 Steiner
[31] 서적 "Between the Jaws of Hyenas": A Diplomatic History of Ethiopia (1876–1896)
[32] 서적 Approaching Ethiopian History Addis Abäba and Local Governance in Harär, C.1900 to 1950 Michigan State University: Department of History 2001
[33] 서적 Armies of the Adowa Campaign 1896
[34] harvnb
[35] harvnb
[36] harvnb
[37] harvnb
[38] 웹사이트 Sean McLachlan, page 15 "Armies of the Adowa Campaign 1896: The Italian Disaster in Ethiopia" https://www.sahistor[...] 2019-03-02
[39] 서적 Fashoda
[40] 웹사이트 Sean McLachlan, page 15 "Armies of the Adowa Campaign 1896: The Italian Disaster in Ethiopia" https://www.sahistor[...] 2019-03-02
[41] harvnb
[42] 논문 The Campaign of Adowa and the rise of Menelik https://zenodo.org/r[...] 1903
[43] 서적 Armies of the Adowa Campaign 1896 Bloomsbury USA 2011-09-20
[44] 서적 "Between the Jaws of Hyenas": A Diplomatic History of Ethiopia (1876-1896) Harrassowitz Verlag
[45] 서적 Encyclopaedia
[46] 웹사이트 Photo of some of the Eritrean Ascari mutilated https://journals.ope[...] 2019-03-03
[47] 서적 Armies of the Adowa Campaign 1896 Bloomsbury USA 2011-09-20
[48] 서적 Ethiopian records of the Menilek era: selected Amharic documents from the Nachlass of Alfred Ilg, 1884-1900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2000
[49] 서적 "Between the Jaws of Hyenas": A Diplomatic History of Ethiopia (1876–1896)
[50] 서적 Armies of the Adowa Campaign 1896 Bloomsbury USA 2011-09-20
[51] harvnb
[52] 웹사이트 Ethiopia's Historic Quest for Medicine, 6 https://web.archive.[...] The Pankhurst History Library
[53] 논문 The Seljan Brothers and the Expansionist Policies of Emperor Minïlik II of Ethiopia
[54]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Volume 6 Cambridge University Press
[55] 서적 The Battle of Adwa Reflections on Ethiopia's Historic Victory Against European Colonialism https://books.google[...] B&T Database Management 2005
[56] harvnb
[57] 서적 The Ethiopians: A History Blackwell Publishers
[58] 서적 The Soviet Union in the Horn of Africa: The Diplomacy of Intervention and Disengage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59] 웹인용 Menelik II http://ic.galegroup.[...] 2016-08-30
[60] 서적 The Battle of Adwa: African Victory in the Age of Empire https://books.google[...] Harvard U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